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CAD명령어
- cad 기초
- 캐드
- 단축키
- 명령어
- 캐드 배우기
- 오토캐드
- 레이어
- cad 배우기
- CAD 명령어
- 건축 CAD
- 캐드팁
- 캐드명령어
- 도면 관리
- 외부참조
- cad
- 3D모델링
- 건축설계
- CAD 기본
- 캐드 명령어
- 캐드 팁
- Move
- 속성블록
- Auto CAD
- CAD팁
- 도면정리
- xref
- layer
- 객체선택
- 캐드 기초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36)
cadnote 님의 블로그

Auto Cad에서 도면 작업을 하다 보면 특정 영역을 하나의 닫힌 객체로 만들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실의 면적을 계산하거나 특정 구역에 해치(Hatch)를 넣기 위해서는 그 영역이 완전히 닫힌 폐곡선(Closed Boundary)이어야 합니다.하지만 실제 작업에서는 선들이 분리되어 있거나 폴리선(Polyline)으로 묶여 있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죠. 이런 상황에서 매번 개별로 된 객체들을 폴리선으로 일일이 연결하는 것은 시간낭비가 될 수 있습니다. 물론 모든 선을 잡은 뒤 Join명령어를 사용하여 하나의 객체로 묶는 방법도 있지만 이런 방법이 작업 효율을 더욱 감소시키는 상황이 분명히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럴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 바로 Boundary 명령어입니다.Bo..

도면작업을 하다 보면 선, 폴리선, 원 등 특정 객체를 일부분만 잘라내거나 분리해야 하는 상황이 자주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긴 벽선 중 문이나 창이 들어갈 부분만 비워두고 싶거나, 특정 구간만 치수선을 삭제하고 싶을 때 유용한 기능이 바로 BREAK명령어입니다.BREAK명령어는 단순하게 객체를 "삭제"하는 것이 아니라, 객체를 원하는 지점에서 끊어내는 도구입니다. 다른 명령어와 조합해서 사용하면 더 유연한 도면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1. BREAK명령어란?BREAK명령어는 객체를 지정한 후, 시작점과 끝점을 선택하여 그 사이의 구간을 잘라내거나 끊어내는 기능을 합니다.전체 객체를 삭제하지 않고 특정 부분만 제거 가능연속된 객체 작업 시 편리도면 가독성과 편집 효율성 상승특히 건축, 기계, 전기 설계..

Auto Cad에서 도면 작업을 하다 보면 하나의 화면만으로는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평면도를 작업하면서 단면도를 동시에 확인하거나, 전체 배치를 보면서 특정 디테일을 확대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이럴 때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기능이 바로 VPORT(Veiwport) 명령어입니다.VPORT는 하나의 도면 공간(Model Space)에서 여러 개의 화면을 동시에 띄워 다른 각도나 축척으로 도면을 확인하고 작업할 수 있도록 돕는 명령어입니다.이번 글에서는 VPORT의 개념부터 사용방법, 그리고 실무에서의 다양한 응용 사례와 꿀팁까지 정리해 보겠습니다.1. VPORT 명령어란?VPORT 명령어는 화면을 여러 개의 창으로 분할하여 서로 다른 뷰를 동시에 보여주는 기능입니다.모형 탭(..

도면 작업을 하다 보면 객체가 겹치거나 불필요하게 중복되어 있는 경우가 자주 발생합니다. 특히 외부참조 도면을 붙였다가 분리했을 때, 다른 사람이 작성한 도면을 받아 수정할 때, 또는 도면을 여러 번 복사·붙여 넣기 했을 때 의도치 않게 중복된 선, 폴리라인, 해치 등이 생기기 쉽습니다.이런 중복객체는 크게 두 가지 문제를 일으킵니다.- 도면 용량이 불필요하게 커져 작업 속도가 느려짐.- 출력 결과가 이상하게 보이는 오류 발생(ex. 선이 두껍게 출력되거나 해치가 깨짐)이 문제를 간단히 해결할 수 있는 기능이 바로 OVERKILL명령어입니다.1. OVERKILL 명령어란?OVERKILL은 Auto Cad에서 중복된 객체를 자동으로 찾아 제거하거나 병합하는 명령어입니다.중복 객체 삭제 : 같은 위치에 겹쳐..

Auto Cad에서 도면 작업을 하다 보면 한 객체를 일정한 간격으로 나누어 포인트를 표시하거나 참조점을 잡고 싶은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긴 직선이나 원, 폴리선 등을 균등한 구간으로 나누어 기준점을 잡아야 할 때 일일이 계산하여 좌표를 입력하기란 번거로운 작업이지요.이럴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가 바로 Divide 명령어입니다. Divide는 객체를 일정 개수로 나누어 가상의 분할점(포인트 객체)을 자동으로 생성해 주는 기능입니다. 단순하게 선을 잘라내는 것이 아니라 포인트(Point)로 표시만 삽입되므로 원본 객체는 그대로 유지됩니다.이번 글에서는 Divide 명령어의 기본 개념부터 사용법, 그리고 실무에서 자주 쓰이는 응용 방법까지 체계적으로 정리해 보겠습니다.1.Divide 명령어란..

Auto Cad를 사용하다 보면 특정 지점(Point)을 표시하거나 좌표를 확인해야 하는 경우가 자주 생깁니다. 예를 들어, 측량 좌표를 도면에 찍을 때나 기준점을 나타낼 때, 혹은 특정 위치를 표시하는 기준점으로 활용할 때가 많습니다. 이때 단순히 점으로만 표시된다면 가시성이 떨어지고, 도면 내 다른 객체와 구분하기 어렵습니다. 바로 이런 상황에서 활용되는 기능이 PTYPE(Point Style) 명령어입니다.이번 글에서는 PTYPE 명령어의 개념, 사용 방법, 활용 사례, 꿀팁을 차례대로 정리해 보겠습니다.1. PTYPE이란?PTYPE(Point Style)은 Auto Cad에서 점(Point)의 표시 모양을 변경할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CAD 기본 설정에서는 점이 단순히 도트(DOT) 형태로 보이는..

Auto Cad에서 작업을 하다 보면 블록(Block)을 해체해야 하는 상황이 자주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협력사로부터 받은 도면에 이미 만들어진 블록이 들어 있는데, 해당 블록 안의 선이나 객체를 수정하거나 속성을 유지하면서 자유롭게 다루고 싶을 때가 있죠. 이때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명령어가 Explode입니다. 하지만 Explode는 블록 안의 속성(Attribute)을 일반 텍스트로 변환하지 못하거나, 원래의 속성을 잃어버리는 단점이 있습니다.이런 문제를 해결해 주는 명령어가 바로 Burst입니다. Burst는 Explode와 비슷하게 블록을 해체하지만, 속성값을 텍스트로 변환하여 유지한다는 큰 차벽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즉, 블록을 해체하면서도 속성을 잃지 않고 계속 활용할 수 있는 기능인 ..

도면 작업을 하다 보면 단순히 선(Line), 문자(Text), 치수(Dim)만으로는 한계가 있습니다. 특히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객체나, 특정 정보를 도면 안에서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할 경우는 블록(Block) 기능이 필수적입니다. 블록은 여러 객체를 하나로 묶어 관리할 수 있는 강력한 기능인데, 여기에 속성(Attribute)을 추가하면 훨씬 더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도면 관리가 가능합니다.속성이란, 블록 안에 사용자가 입력하거나 수정할 수 있는 데이터 필드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문(door) 블록에 문 번호, 사이즈 자재 등을 입력해 두면 나중에 속성 추출 기능으로 전체 도면의 문 정보를 표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이때 속성을 정의하는 핵심 명령어가 바로 ATTDEF(속성정의)입니다.1. ATTDE..

Auto CAD를 사용하다 보면 외부참조(XREF)나 블록(Block)을 그대로 불러와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참조된 도면 전체가 필요하지 않고, 특정 부부난 활용하고 싶을 때가 있죠. 이럴 때 매우 유용하게 활용되는 기능이 바로 XCLIP 명령어입니다.이번글에서는 XCLIP 명령어란 무엇인지, 사용법, 실무에서 활용되는 사례, 그리고 꿀팁까지 정리해 보겠습니다.1.XCLIP이란?XCLIP은 외부참조(XREF)나 블록(Block)에 클리핑 경계(Clip Boundary)를 지정하여 특정 부분만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입니다. 쉽게 말해, 이미 불러온 도면에서 불필요한 영역은 숨기고 원하는 부분만 잘라내어 보여주는 기능입니다.예를 들어, 건축 설계에서 대지 전체 도면을 불러왔는데, 내가 작업할 영역은..

Auto CAD작업을 하다 보면 레이어 관리와 도면 정리가 시간이 오래 걸릴 때가 많습니다.특히 외부참조(XREF)나 블록(Block) 안에 존재하는 불필요한 레이어들이 도면을 복잡하게 만들고, 플롯이 꺼져 있는 레이어는 출력에 필요하지 않음에도 계속 눈에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게다가 작업을 오래 하다 보면 사용하지 않는 객체들이 쌓여 PURGE와 AUDIT 작업도 주기적으로 필요합니다.이럴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LISP이 바로 NPFA입니다.NPFA는 Non-plot Freeze + All의 약자로, 플롯이 꺼져 있는 레이어를 한 번에 동결시키고, 도면 전체를 정리해 주는 자동화 명령어입니다.1. NPFA란 무엇인가?NPFA 명령어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플롯이 꺼져 있는 레이어를 자..